이슈브리프
-
초록
첨단산업의 발전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으로 세계가 새로운 전기화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전력 생산의 안정성 확보와 전력망의 현대화는 국가안보의 핵심과제가 되었다. 전력안보를 위해서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하고, 전력 생산과 송전 및 배전 과정에서 전력 시스템의 장애를 극복하고 조속히 회복력을 확보할 수 있는 역량을 확립하여야 한다. 또한 이상 기후와, 노후화된 인프라는 물론 사이버 공격 등 전력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위협으로부터 발전 시설과 전력망을 보호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반도체 클러스터, 데이터 센터, 상하수도 시스템, 병원과 학교, 디지털 경제시스템이 안정적인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비상시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전력 생산과 공급의 안정성 확보는 국가안보를 강화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전력 생산의 원천인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정학적 위협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에너지원의 국내 생산이 매우 미약하여 에너지 독립성과 자율성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다만 전력 기술 및 전력 관련 부품이나 장비의 측면에서는 상당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력 생산과 송전 및 배전과 관련된 기술이나 부품 및 장비 등의 국내 제조 역량 강화를 통해 글로벌 전력 공급망에서 길목을 확보함으로써 전력안보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전글[733호] 중국 전승절과 시진핑 지도력 : 평가와 함의 2025-09-10
-
다음글[735호]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출범의 의의와 과제 : AI G3 도약을 위한 전략적 접근 2025-09-17